반응형

차례상 제일 안 쪽 가운데 놓는 지방,

어떻게 쓰는 지 어렵고 막막하신 분들 있으시죠.

지방 쓰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하단에 파일을 첨부했으니 끝까지 잘 읽어주세요.

 

지방의 의미

지방은 종이 지(紙)자에 패 방(榜) 자 로,  종이에 써서 나무 패에 붙인다는 뜻입니다.

주로 제사나 차례때 사용하며 차례상 제일 안 쪽 가운데에 지방을 놓습니다.

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고인을 상징하는 것으로

종이는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기 때문에

영구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차례가 끝나면 바로 태워서 소각하는 것이 관례입니다.

 

지방 쓰는 법

지방의 크기는 길이 22cm, 폭 6cm입니다.

붓으로 쓴다면 화선지나 한지, 펜이나 붓펜을 사용한다면 그냥 깨끗한 흰 종이에 쓰시면 됩니다.

서체는 단정한 해서체가 기본이지만 예서체도 괜찮습니다.

다만 알아보기 글자체는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한 분을 제사로 모실 경우 가운데 한줄로 쓰면 되고 

두분은 남자 왼쪽, 여자 오른쪽에 적어 따로 분리하지 않고 한 종이에 적습니다.

 

제사를 모시는 제주를 기준으로 작성합니다.

제주는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되고, 장자나 장손이 없는 경우 차자나 차손이 대신하면 됩니다.

 

지방 쓰는 법(아버지, 어머니)

지방 쓰는 법(아버지)

"현고학생부군신위"

- 현고(顯考) : 제사 주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며 나타날현(顯), 돌아볼 고(考) 한자를 씁니다.

  이 중 돌아볼 고는 살아가면서 아버지의 행동거지나 가르침을 문득문득 돌아본다는 뜻이고,

  현고는 아버지, 우리앞에 나타나주세요. 라고 합니다.

- 학생(學生)은 고인의 직위를 작성하는 곳인데 관직이 없는 경우 학생이라고 씁니다.

  관직이 있다면 국회의원, 대법관 등을 학생대신 기재할 수 있지만 보통은 학생이라고 씁니다.

- 부군(府君) : 남성(나보다 윗사람일때), 나보다 아랫사람일때는 이 위치에 이름을 써줍니다.

- 신위(神位) :  조상(신)이 계신 자리

 

지방쓰는 법(어머니)

"현비유인(본관성씨)신위"

- 현비(顯妣): 어머니는 날 먹여기르신 분이기 때문에 이 한자를 쓴다고 하네요.

- 유인(孺人): 조선시대 외명부의 벼슬이름으로 구품의 벼슬을 한 문무관의 아내들을 유인이라 했습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한평생 봉사하며 살아오신 삶에 대한 보답의 의미로 자손이 사후 벼슬을 드리는 셈이라고 하네요.

- 본관+성씨: 예를들어 김해김씨, 창녕조씨와 같은 본관과 성씨를 쓰시면 됩니다.

- 신위(神位)

 

지방쓰는 법(할아버지, 할머니, 증조부, 증조모, 고조부, 고조모)

할아버지 : 현조(祖)고학생부군신위

할머니: 현(祖)비유인(본관성씨)신위

증조할아버지: 현증(曾)조고학생부군신위

증조할머니: 현()조비유인<본관성씨>신위

고조할아버지: 현고(高)조고학생부군신위

고조할머니: 현(高)조비유인<본관성씨>신위

남편: 현벽(辟-임금벽)학생부군신위

아내: 고실故室(또는 망실亡室)유인<본관성씨>신위

형: 현형(兄)학생부군신위

동생: 망제(亡弟)학생<이름>지령(之靈)

 

한자로 쓰는것이 어렵지만 의미가 있으니 뜻을 새기며 지방을 써보시는 건 어떨까요.

 

지방쓰는 법.hwp
0.01MB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